컨디셔너

건강한 삶을 위해 컨디셔너와 컨디셔닝센터가 함께합니다.

Good For Your Health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319

[건강정보-질병] 전방/후방 십자인대 손상

🦵 ACL / PCL 손상에 대한 물리치료적 접근1. 원인🔹 ACL (전방십자인대) 손상갑작스런 방향 전환이나 정지 동작점프 후 착지 시 무릎의 과신전 또는 회전축구, 농구, 스키 등 스포츠 중 외상 🔹 PCL (후방십자인대) 손상무릎 굴곡 상태에서의 직접적인 충격 (예: 교통사고 시 대시보드 충돌)무거운 물체가 정강이 뒤를 밀며 발생과도한 무릎 굴곡 또는 신전2. 증상 및 특징초기 증상'뚝' 소리, 통증, 붓기통증, 무릎 뒤쪽의 불안정감무릎 불안정성흔함 – 특히 회전 동작에서덜 흔함 – 계단 내려갈 때 불안정운동 제한굽힘/폄 모두 제한굽힘 시 통증 우세만성 증상반복되는 무릎 꺾임 현상, 불안정성무릎 뒤쪽 불편함, 근력 약화 3. 일반적인 검사 방법시진 및 촉진 : 무릎 부종, 함몰 부위 확인수기 ..

건강정보 2025.07.06

[관절] 상완요골관절(Humeroradial joint)

🦴 우리 몸의 관절 – Humeroradial Joint (상완요골관절) **Humeroradial joint(상완요골관절)**은 팔꿈치를 구성하는 관절 중 하나로, **상완골(humerus)**의 **상완골소두(capitulum)**와 **요골(radius)**의 **머리(head)**가 맞닿아 형성됩니다. 이 관절은 굴곡과 신전, 회외(supination) 및 회내(pronation) 동작에 모두 관여하는 복합적 기능을 가진 관절입니다. 다른 팔꿈치 관절(Humeroulnar, Proximal Radioulnar joint)과 함께 작용하여 팔을 자유자재로 굽히고 회전하는 데 기여합니다. 단독 움직임보다는 협력적 작용이 중요한 관절로, 손의 위치 변화나 물건을 잡는 기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근육학/관절학 2025.07.06

[건강정보-질병] 고관절과 무릎의 관절염(Hip & Knee Osteoarthritis)

🦴 Hip / Knee Osteoarthritis고관절 및 무릎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 대한 물리치료적 접근🔍 1. 원인노화 : 연골의 퇴행성 변화반복적 사용 : 운동, 노동 등으로 인한 관절 과부하비만 : 체중 증가로 관절에 지속적 압박외상 병력 : 골절, 인대 손상 등유전적 요인 : 가족력, 해부학적 구조 이상정렬 이상 : 내반슬(O자 다리), 외반슬(X자 다리), 고관절 내회전 제한 등🧬 2. 증상 및 특징통증 : 활동 후 악화, 초기에는 관절 사용 시만 통증 → 진행되면 휴식 시에도 통증운동 범위 감소 : 굴곡/신전 제한, 특히 무릎과 고관절의 굳음부기 및 열감 : 국소 염증 반응운동 시 마찰음 : 관절 내 연골 소실로 인한 마찰근력 약화 : 대퇴사두근, 둔근군 위축보행 이상 : 절뚝거림, ..

건강정보 2025.07.05

[관절] 상완척골관절(Humeroulnar joint)

🦴 우리 몸의 관절 – Humeroulnar Joint (상완척골관절) **Humeroulnar joint(상완척골관절)**은 팔꿈치를 이루는 주요 관절로, **상완골(humerus)**의 도르래(trochlea)와 **척골(ulna)**의 도르래절흔(trochlear notch)이 만나 형성됩니다. 이 관절은 **경첩관절(hinge joint)**로, **팔꿈치의 굽힘(flexion)**과 **폄(extension)**만을 가능하게 하며, 강한 인대와 관절낭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이 관절은 단순한 구조지만, 일상생활에서 물건을 들거나 팔을 굽히는 거의 모든 동작에 관여합니다. 또한, 요골과 함께 작용하여 팔의 전체적인 움직임에 조화를 이룹니다. ⚙️ 기능팔꿈치 굽힘과 폄 동작을 제공상지의 힘..

근육학/관절학 2025.07.05

[건강정보-질환]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에 대한 물리치료적 접근1.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 안의 정중신경이 손목터널(carpal tunnel) 내에서 압박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반복적인 손목 사용: 컴퓨터 마우스, 키보드 사용, 요리, 운전 등손목의 잘못된 자세 유지: 구부린 채 오랜 작업부종 또는 염증: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병, 임신 시 체액 증가해부학적 문제: 손목터널 자체가 좁거나 외상으로 인한 압박2. 증상 및 특징정중신경 지배 부위의 이상감각: 엄지, 검지, 중지 및 약지의 반쪽손 저림 및 감각 둔화 (특히 밤에 심해짐)엄지 근육 위축(thenar muscle atrophy)물건을 자주 놓침, 미세조작 기능 저하증상이 손에서 ..

건강정보 2025.07.04

[관절] 견갑흉곽관절(Scapulothoracic Articulation)

🦴 우리 몸의 관절 – Scapulothoracic Articulation (견갑흉곽 관절) **Scapulothoracic articulation(견갑흉곽 관절)**은 일반적인 의미의 ‘관절’과는 조금 다릅니다. 이 구조는 **견갑골(scapula)**이 늑골(thoracic rib cage) 위를 미끄러지듯 움직이며 형성하는 **기능적 관절(functional joint)**입니다. 뼈끼리 직접 연결된 활막관절은 아니지만, 근육과 결합조직을 통해 견갑골이 흉곽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게 해줍니다.이 관절의 움직임은 팔을 위로 올리거나 머리 뒤로 젖히는 동작 등에서 매우 중요하며, 견갑골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으면 어깨 관절(Glenohumeral joint)의 기능도 제한됩니다. ⚙️ 기능견갑골의 안정..

근육학/관절학 2025.07.04

[건강정보-질병] 테니스엘보(Lateral epicondylitis, =외측상과염)

🎾 테니스 엘보 (Tennis Elbow / 외측 상과염)에 대한 물리치료적 접근1. 테니스 엘보의 원인과사용(overuse): 손목을 반복적으로 펴는 동작(예: 키보드, 마우스, 손잡이 돌리기, 라켓 스포츠 등)미세손상 축적: 팔꿈치 바깥쪽 힘줄(손목 신전근 기시부)의 미세한 반복 손상기능 부조화: 손목·팔꿈치·어깨의 협응 부족, 어깨 안정성 저하연령 관련 퇴행 변화: 주로 30~50대에 빈번히 발생2. 증상 및 특징통증 부위: 팔꿈치 바깥쪽(외측 상과)통증 유발 동작:물건 들기, 손목 펴기, 병뚜껑 열기 등악력 동작, 마우스 클릭 시 통증 유발압통점: 외측 상과 부위의 국소 압통운동 범위 제한: 손목이나 팔꿈치의 과사용 시 통증 증가기능 제한: 일상생활 동작에서 손목 사용 감소 경향3. 일반적인 검..

건강정보 2025.07.03

[관절] 견관절(Glenohumeral joins, =어깨관절)

🦴 우리 몸의 관절 – Glenohumeral Joint (견관절) **Glenohumeral joint(견관절)**은 어깨 관절 중 가장 큰 관절로, **견갑골의 관절와(glenoid cavity)**와 **상완골의 골두(humeral head)**가 만나 형성됩니다. 흔히 ‘어깨관절’이라 불리며, 우리 몸에서 가장 움직임 범위가 넓은 관절입니다. 굴곡, 신전, 외전, 내전, 내회전, 외회전, 원회전 등 다양한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만큼 불안정성도 큰 관절로, 다양한 인대, 근육, 관절낭이 이를 지지합니다. 특히 **회전근개(rotator cuff)**는 견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핵심 구조입니다.⚙️ 기능상지를 거의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함팔을 들고, 내리고, 회전하고, 뒤로 젖..

근육학/관절학 2025.07.03

[건강정보-질환] 어깨충돌증후군(Impingement Syndrome)

💡 어깨충돌증후군(Shoulder Impingement Syndrome)에 대하여1. 원인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관절에서 견봉(acromion) 아래 공간이 좁아지면서, 그 사이를 지나는 **회전근개(특히 극상근)**나 견봉하점액낭(bursa) 등이 견봉과 충돌하거나 마찰되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입니다.어깨를 반복적으로 위로 드는 동작(야구, 배드민턴, 수영 등)잘못된 자세(전방 머리자세, 둥근 어깨)견봉의 구조적 이상(갈고리형 견봉 등)회전근개 약화 및 기능적 불균형어깨 움직임의 잘못된 패턴(견갑-상완 리듬 이상)2. 증상 및 특징어깨 전면 또는 측면의 통증팔을 위로 들거나 뒤로 젖힐 때 통증 악화야간통(특히 해당 쪽으로 누워 잘 때 심해짐)운동 시 일정 각도(60~120도)에서 통증이 유독 심..

건강정보 2025.07.02

[관절] 흉쇄관절(Sternoclavicualr joint)

🦴 우리 몸의 관절 – Sternoclavicular Joint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흉쇄관절)**은 **흉골의 자루(manubrium of sternum)**와 **쇄골(clavicle)**이 만나 형성하는 관절로, 팔을 몸통에 연결하는 유일한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작지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깨의 움직임과 상지의 유연한 가동성에 핵심적인 기여를 합니다.해부학적으로는 안장관절(saddle-type synovial joint) 구조로 되어 있으며, 관절 안에 존재하는 **관절원판(articular disc)**은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흉쇄관절은 견갑골과 쇄골의 움직임에 따라 상지 전체의 움직임에 맞춰 거상, 하강, 전진, 후퇴, 회전 등을 수행합니다..

근육학/관절학 2025.07.0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