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우리 몸의 관절 – Sternoclavicular Joint (흉쇄관절)
**Sternoclavicular joint(흉쇄관절)**은 **흉골의 자루(manubrium of sternum)**와 **쇄골(clavicle)**이 만나 형성하는 관절로, 팔을 몸통에 연결하는 유일한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작지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깨의 움직임과 상지의 유연한 가동성에 핵심적인 기여를 합니다.
해부학적으로는 안장관절(saddle-type synovial joint) 구조로 되어 있으며, 관절 안에 존재하는 **관절원판(articular disc)**은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흉쇄관절은 견갑골과 쇄골의 움직임에 따라 상지 전체의 움직임에 맞춰 거상, 하강, 전진, 후퇴, 회전 등을 수행합니다.
⚙️ 기능
-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릴 때 필수적인 축 역할
- 쇄골과 견갑골의 움직임을 조율하여 어깨 복합체의 안정성 유지
- 상지의 넓은 운동 범위를 위한 지지 기반 제공
⚠️ 손상의 종류
- 흉쇄관절 탈구(Dislocation)
- 교통사고, 낙상 등 강한 외상에 의해 발생
- 전방 탈구는 흔하나, 후방 탈구는 기도나 혈관 압박 등으로 응급상황이 될 수 있음
- 관절염(Arthritis)
- 노화 또는 과사용에 의해 연골이 마모되어 염증과 통증이 생김
- 견디기 힘든 앞가슴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염좌(Sprain)
- 가벼운 외상이나 반복적 스트레스에 의해 인대가 늘어나면서 불안정성 유발
💪 흉쇄관절을 위한 운동 방법
- 어깨 원 그리기(Shoulder Rolls)
- 어깨를 천천히 앞으로, 뒤로 회전시켜 관절의 순환과 가동성을 촉진
- 가슴 열기 스트레칭(Wall Chest Opener)
- 벽에 손을 대고 몸통을 반대 방향으로 돌려 가슴과 어깨 앞쪽을 이완
- 쇄골 움직임 운동(Clavicle Mobilization)
- 어깨를 위아래로 들어올리며 쇄골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유지
✅ 요약
Sternoclavicular joint는 팔과 몸통을 연결하는 유일한 관절로, 작지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외상이나 과사용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벼운 어깨 회전 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근육학 > 관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 견갑흉곽관절(Scapulothoracic Articulation) (3) | 2025.07.04 |
---|---|
[관절] 견관절(Glenohumeral joins, =어깨관절) (5) | 2025.07.03 |
[관절] 견봉쇄골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4) | 2025.07.01 |
[관절] 검돌흉골관절(Xiphisternal Joint) (6) | 2025.06.30 |
[관절] 늑연골관절(Costochondral joint) (2)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