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우리 몸의 관절 – Humeroulnar Joint (상완척골관절)
**Humeroulnar joint(상완척골관절)**은 팔꿈치를 이루는 주요 관절로, **상완골(humerus)**의 도르래(trochlea)와 **척골(ulna)**의 도르래절흔(trochlear notch)이 만나 형성됩니다. 이 관절은 **경첩관절(hinge joint)**로, **팔꿈치의 굽힘(flexion)**과 **폄(extension)**만을 가능하게 하며, 강한 인대와 관절낭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이 관절은 단순한 구조지만, 일상생활에서 물건을 들거나 팔을 굽히는 거의 모든 동작에 관여합니다. 또한, 요골과 함께 작용하여 팔의 전체적인 움직임에 조화를 이룹니다.
⚙️ 기능
- 팔꿈치 굽힘과 폄 동작을 제공
- 상지의 힘 전달과 지지에 핵심적
- 물건을 집거나 밀 때의 근육 지렛대 역할 수행
- 상완삼두근, 상완근, 상완요골근 등과 협력해 움직임 조절
⚠️ 손상의 종류
- 팔꿈치 염좌(Sprain)
- 인대가 늘어나거나 손상되어 통증과 불안정성 발생
- 외상이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발생 가능
- 과신전 손상(Hyperextension Injury)
- 팔꿈치를 뒤로 과도하게 젖힐 때 발생
- 관절낭 및 인대 손상 가능
- 골절(Fracture)
- 상완골 하단, 척골 상단 골절은 흔한 팔꿈치 외상
- 심한 경우 관절의 정렬 이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
- 관절염(Arthritis)
- 반복된 사용 또는 외상 후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
💪 추천 운동 방법
- 수건 이용 굽힘과 폄 운동
- 수건이나 막대를 잡고 팔꿈치를 천천히 굽혔다 펴는 동작 반복
- 관절 가동 범위 유지에 효과적
- 등척성 수축 운동(Isometric Flexion/Extension)
- 손바닥을 벽에 대고 밀거나 당기며 팔꿈치 근육을 자극
- 근력 유지와 통증 조절에 도움
- 팔꿈치 스트레칭
- 팔을 곧게 펴고 반대 손으로 팔꿈치를 지그시 눌러 부드럽게 이완
✅ 요약
Humeroulnar joint는 팔꿈치의 굽힘과 폄을 담당하는 핵심 관절로, 단순하지만 손상 위험이 높은 부위입니다. 반복 사용, 과신전, 외상 등으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동성 유지와 근육 안정화 운동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근육학 > 관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 위팔노관절(Proximal Radioulnar joint) (4) | 2025.07.07 |
---|---|
[관절] 상완요골관절(Humeroradial joint) (2) | 2025.07.06 |
[관절] 견갑흉곽관절(Scapulothoracic Articulation) (3) | 2025.07.04 |
[관절] 견관절(Glenohumeral joins, =어깨관절) (5) | 2025.07.03 |
[관절] 흉쇄관절(Sternoclavicualr joint) (4)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