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ACL / PCL 손상에 대한 물리치료적 접근
1. 원인
🔹 ACL (전방십자인대) 손상
- 갑작스런 방향 전환이나 정지 동작
- 점프 후 착지 시 무릎의 과신전 또는 회전
- 축구, 농구, 스키 등 스포츠 중 외상
🔹 PCL (후방십자인대) 손상
- 무릎 굴곡 상태에서의 직접적인 충격 (예: 교통사고 시 대시보드 충돌)
- 무거운 물체가 정강이 뒤를 밀며 발생
- 과도한 무릎 굴곡 또는 신전
2. 증상 및 특징
초기 증상 | '뚝' 소리, 통증, 붓기 | 통증, 무릎 뒤쪽의 불안정감 |
무릎 불안정성 | 흔함 – 특히 회전 동작에서 | 덜 흔함 – 계단 내려갈 때 불안정 |
운동 제한 | 굽힘/폄 모두 제한 | 굽힘 시 통증 우세 |
만성 증상 | 반복되는 무릎 꺾임 현상, 불안정성 | 무릎 뒤쪽 불편함, 근력 약화 |
3. 일반적인 검사 방법
- 시진 및 촉진 : 무릎 부종, 함몰 부위 확인
- 수기 검사
- Lachman test (ACL)
- Anterior drawer test (ACL)
- Posterior drawer test (PCL)
- Sag sign (PCL)
- 기능 검사 : 런지, 스쿼트 시 무릎 정렬 확인
- 영상진단 : MRI로 인대 손상 정도 확인
4. 치료 방법
보존적 치료
- 무릎 안정성 확보를 위한 근력 강화
- 스포츠 활동이 많지 않은 일반인의 경우 적용
- 체중 지지 및 보조기 착용 필요
수술적 치료
- 인대 재건술(특히 ACL 완전 파열 시)
- 수술 후 약 6~12개월 재활 필요
5. 운동 방법 (재활 및 예방 운동)
✅ 초기 재활기 (4주)
- 쿼드셋 (Quad Set) : 무릎을 편 상태에서 허벅지 근육 수축 유지
- 힐슬라이드 (Heel Slide) : 누운 자세에서 발꿈치를 엉덩이 쪽으로 당기기
- 수동 ROM 훈련: 관절 가동성 확보
✅ 중기 (412주)
- 브릿지 (Bridge)
- 스텝업 운동 (Step Up)
- 탄성밴드로 햄스트링/대퇴사두근 강화
✅ 후기 (3~6개월 이상)
- 싱글 레그 밸런스 훈련
- 미니 스쿼트, 런지
- 짧은 조깅 및 직선 달리기 연습
🛡️ 물리치료사의 팁
-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점진적 진행이 중요
-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균형 훈련에 집중
- 보행 시 무릎 중립 정렬 유지 훈련
- 운동은 양쪽 하지 균형을 맞추어 진행해야 무릎 재부상을 예방
728x90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정보-질병] 족저근막염(Plantar fascilitis) (20) | 2025.07.09 |
---|---|
[건강정보-질병] 반월판상연골 손상(Meniscus Tear) (26) | 2025.07.07 |
[건강정보-질병] 고관절과 무릎의 관절염(Hip & Knee Osteoarthritis) (24) | 2025.07.05 |
[건강정보-질환]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18) | 2025.07.04 |
[건강정보-질병] 테니스엘보(Lateral epicondylitis, =외측상과염) (12)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