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패럴림픽 양궁: 정밀함과 집중력으로 한계를 꿰뚫다 🎯🔥
패럴림픽 양궁은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는 자세와 장비를 활용하여 최고의 정확도를 겨루는 종목입니다. 오직 화살과 과녁, 그리고 집중력만으로 승부하는 이 경기는, 신체적 조건을 넘어선 정밀함과 정신력의 스포츠라 불릴 만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패럴림픽 양궁의 특징, 일반 양궁과의 차이점, 세부 종목과 규칙, 그리고 장애인 육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상 부위를 정리해드립니다.
1. 패럴림픽 양궁의 특징
- 지체장애, 절단, 척수손상, 근육약화 등의 선수 출전 가능
- 앉거나 서서, 또는 휠체어를 사용해 사격 가능
- 맞춤형 활과 보조 장비 사용 가능 (예: 입으로 줄을 당기는 장치, 팔 지지대 등)
- 남녀 구분 없이 혼성 종목도 운영
2. 일반 양궁과의 차이점
선수 자세 | 모두 서서 사격 | 휠체어 또는 의자에 앉아 사격 가능 |
장비 제한 | 규정된 장비만 사용 | 장애에 따라 보조 장비 허용 |
경기 클래스 | 구분 없음 | 장애 유형 및 정도에 따라 분류 |
경기 구성 | 남녀 개인전, 단체전 | 개인전, 혼성전 포함 / 장애 클래스에 따라 나뉨 |
3. 세부 종목 및 규칙
1) 클래스 분류
- Open Class: 휠체어 또는 서서 활쏘기 가능, 상지 기능이 비교적 좋은 선수
- W1 Class: 사지마비, 손/팔 기능이 제한적인 선수 (보통 복합보조장비 허용)
2) 주요 종목
- 개인전 (Individual)
- 리커브(Recurve) / 컴파운드(Compound) 부문
- 혼성전 (Mixed Team)
- 남녀 1인씩 팀 구성
- 단체전 (Team)
- 동일 클래스의 3명으로 구성 (일부 대회)
3) 경기 규칙
- 거리 : 리커브 – 70m, 컴파운드 – 50m
- 과녁 크기 : 리커브 – 122cm, 컴파운드 – 80cm
- 득점 방식 : 10점 만점 과녁을 기준으로 점수 합산
- 세트 시스템 (리커브) : 3발씩 3~5세트, 세트 포인트로 승부
- 총점 시스템 (컴파운드) : 5엔드(15발)로 총점 계산
- 시간 제한 : 한 발당 보통 20~30초 이내
4. 장애인 육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상 부위
장애인 육상 선수들은 휠체어나 의족 등의 보조기기를 사용하거나, 특정 근육군에 반복적인 부하를 주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부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1) 휠체어 사용자
- 어깨 관절 손상 : 지속적인 휠체어 추진 → 회전근개 염증, 충돌 증후군
- 팔꿈치/손목 통증 : 지면 충격 흡수 부족 → 건염, 손목 통증 증가
2) 의족 사용자
- 무릎/고관절 통증 : 반복적인 충격과 비대칭 움직임 → 관절 마모, 피로 누적
- 피부 손상 : 의족과 접촉 부위의 마찰 → 물집, 피부염, 궤양
3) 시각장애 선수
- 근육 긴장 및 낙상 부상 : 전신 긴장도가 높아지고 방향 인식 어려움으로 인한 넘어짐 위험
마무리 📝
패럴림픽 양궁은 선수의 장애에 맞춰 보조 장비와 자세를 조정하며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정적인 스포츠이지만, 강한 정신력과 집중력, 신체 통제가 중요한 경기로 많은 감동을 주고 있습니다.
한편, 장애인 육상은 반복적인 움직임과 보조기기 사용으로 특정 부위에 부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기초 체력 강화, 정기적인 재활, 장비 적응 훈련이 필수적입니다.
앞으로도 패럴림픽 선수들의 노력과 열정에 많은 응원을 보내주세요! 🎯🙌
728x90
반응형
'장애인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스포츠] 탁구 (15) | 2025.05.15 |
---|---|
[장애인스포츠] 7인제 축구 (10) | 2025.03.31 |
[장애인스포츠] 5인제 축구 (9) | 2025.03.23 |
[장애인스포츠] 휠체어 럭비 (12) | 2025.03.20 |
[장애인스포츠] 휠체어 테니스 (13)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