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패럴림픽 탁구: 장애를 뛰어넘은 기술과 집중력의 승부 🏓🔥
패럴림픽 탁구는 지체, 뇌병변, 절단, 휠체어 사용 선수 등 다양한 장애 유형을 가진 선수들이 출전하는 경기입니다. 빠른 스피드와 정교한 컨트롤, 집중력이 요구되는 탁구는 장애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가 평등하게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라켓 스포츠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패럴림픽 탁구의 특징, 일반 탁구와의 차이점, 세부 종목 및 규칙, 그리고 장애인 육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상 부위에 대해 정리해드립니다.
1. 패럴림픽 탁구의 특징
- 신체적 장애, 뇌병변 장애, 절단, 지적장애 선수들이 참가
- **클래스(Classification)**에 따라 총 11개 등급
- 클래스 1~5: 휠체어 사용 선수
- 클래스 6~10: 서서 경기하는 선수
- 클래스 11: 지적장애 선수
- 경기 방식은 올림픽 탁구와 유사
- 개인전, 단체전 구성
- 3~5세트(11점제) 경기 진행
- 서브, 랠리, 스매시, 수비 등 대부분의 기술 동일
2. 일반 탁구와의 차이점
출전 선수 | 비장애인 | 지체, 뇌병변, 지적장애 등 다양한 장애 선수 |
등급 구분 | 없음 | 클래스 1~11로 등급 세분화 |
경기 자세 | 모두 서서 경기 | 휠체어 사용 포함 |
서브 방식 | 정해진 규칙 | 휠체어 클래스는 서브 시 네트 근처 바닥 1회 이상 튀어야 함 |
이동 범위 | 테이블 전후좌우 자유 | 휠체어 클래스는 라켓과 휠체어 간의 움직임 제한 고려됨 |
3. 세부 종목 및 경기 규칙
1) 종목 구성
- 개인전 (Singles)
- 클래스별로 분류된 1:1 경기
- 단체전 (Team Event)
- 동일 또는 유사 클래스의 선수들이 팀을 이뤄 2~3인 구성
- 혼성 가능
- 남녀 혼성 또는 복합 장애 선수 팀 구성 가능
2) 경기 규칙
- 세트당 11점제, 3세트 혹은 5세트 경기
- 서브 규칙 (휠체어 클래스)
- 서브한 공은 반드시 상대 코트의 바닥에 1번 이상 튀어야 함
- 상대 선수를 향해 직접 날아가는 서브는 반칙
- 리턴 시 라켓으로 테이블이나 몸이 닿으면 실점
- 복식 경기 시 휠체어 선수는 코트 반을 나눠 공을 번갈아 쳐야 함
4. 장애인 육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부상 부위
장애인 육상은 선수의 장애 유형과 사용하는 보조기기(휠체어, 의족 등)에 따라 다양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휠체어 사용 선수
- 어깨 관절: 반복적인 휠 밀기 → 회전근개 손상, 염좌
- 팔꿈치/손목: 충격 및 누적 사용 → 건염, 통증, 피로골절
2) 의족 사용 선수
- 무릎 및 고관절: 충격 흡수가 제한된 상태에서 관절에 부담
- 피부 마찰 부위: 의족 접촉 부위 → 물집, 피부 궤양
3) 시각장애 선수
- 낙상 부상: 방향 착오, 접지력 불균형 → 타박상, 골절
- 근경련 및 근육 피로: 감각 의존 움직임 → 과사용 부위에 긴장
마무리 📝
패럴림픽 탁구는 장애를 뛰어넘어 정밀한 기술, 집중력, 전략으로 승부를 겨루는 종목입니다. 다양한 장애 유형을 가진 선수들이 클래스에 따라 공정하게 경쟁하며, 휠체어에서 펼쳐지는 랠리는 보는 이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한편, 장애인 육상은 각 장애 유형에 따라 부상의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사전 평가, 보호대 착용, 근력 강화 운동 및 회복 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되어야 합니다.
앞으로도 패럴림픽 스포츠와 선수들에게 많은 관심과 응원을 보내주세요! 🙌🏓🔥
728x90
반응형
'장애인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스포츠] 양궁 (8) | 2025.05.24 |
---|---|
[장애인스포츠] 7인제 축구 (10) | 2025.03.31 |
[장애인스포츠] 5인제 축구 (9) | 2025.03.23 |
[장애인스포츠] 휠체어 럭비 (12) | 2025.03.20 |
[장애인스포츠] 휠체어 테니스 (13)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