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디셔너

건강한 삶을 위해 컨디셔너와 컨디셔닝센터가 함께합니다.

Good For Your Health

장애인스포츠

[장애인스포츠] 육상

컨디셔너(coNdi) 2025. 3. 2. 14:14
728x90
반응형
SMALL

패럴림픽 육상: 장애를 넘어선 한계를 뛰어넘다

 패럴림픽 육상은 다양한 장애 유형을 가진 선수들이 참여하는 종목으로, 장애에 따라 맞춤형 규칙이 적용되며, 휠체어 레이싱, 의족을 착용한 단거리 달리기, 시각장애인 경주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패럴림픽 육상의 특징, 일반 육상과의 차이점, 세부 종목 및 규칙, 그리고 부상의 위험이 높은 부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패럴림픽 육상의 특징

패럴림픽 육상은 트랙 경기와 필드 경기로 나뉘며, 장애 유형에 따라 출전하는 등급(Classification)이 구분됩니다.

 1) 트랙 경기(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계주, 허들)

  • 휠체어 레이싱과 일반 러닝이 포함됨
  • 시각장애 선수는 가이드 러너(Guide Runner)와 함께 뛰기도 함
  • 의족을 착용한 선수의 경우 탄성이 높은 러닝 블레이드를 사용

 2) 필드 경기(멀리뛰기, 높이뛰기, 창던지기, 포환던지기 등)

  • 장애 유형에 따라 휠체어에서 던지거나 특정한 자세로 경기 진행
  • 상지 장애 선수는 한 손만을 사용하여 던지기도 함

 3) 등급 시스템(Classification System)

  •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됨
  • T(Track)와 F(Field)로 구분되며, 숫자가 낮을수록 장애 정도가 심한 선수

2. 일반 육상과의 차이점

구분일반 육상패럴림픽 육상

출발 방식 스타팅 블록 사용 장애 유형에 따라 휠체어, 인공 다리, 가이드 러너 활용
사용 장비 특별한 장비 없음 의족(러닝 블레이드), 휠체어, 시각장애인용 가이드 로프 등
경기 규칙 동일한 방식 적용 장애에 따라 맞춤형 규칙 적용
종목 구성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장애물, 필드 경기 휠체어 레이싱, 의족 착용 경기, 시각장애 선수 보조 시스템 적용 등

3. 패럴림픽 육상의 세부 종목 및 규칙

 (1) 트랙 경기

  • 단거리(100m, 200m, 400m)
    • 휠체어 및 의족 선수, 시각장애 선수 등이 참가
    • 시각장애 선수는 가이드 러너와 함께 경기
    • 휠체어 레이싱 선수들은 특수 제작된 레이싱 휠체어 사용
  • 중거리·장거리(800m, 1500m, 5000m, 마라톤)
    • 휠체어 레이싱과 일반 러닝 종목 포함
    • 가이드 러너가 시각장애 선수와 함께 뛰며, 선수보다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면 실격
  • 허들 경기(100m 허들, 400m 허들)
    • 의족을 사용하거나 특정 장애 유형에 따라 허들 크기 조정
  • 계주(4x100m, 4x400m)
    • 장애 유형이 다른 선수들로 구성된 팀도 존재
    • 배턴 전달 방식이 다를 수 있음 (예: 시각장애 선수는 촉각으로 배턴 전달)

 

 (2) 필드 경기

  • 투척 종목(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창던지기, 해머던지기)
    •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는 고정된 자리에서 투척
    • 상지 장애 선수는 한 손만을 사용하여 던짐
    • 장애 유형별로 투척 기구 무게가 다르게 설정
  • 도약 종목(멀리뛰기, 높이뛰기, 삼단뛰기)
    • 의족을 사용한 선수들은 탄력 있는 보조기구를 활용
    • 시각장애 선수는 보조자의 소리 신호를 듣고 도약

4. 패럴림픽 육상에서 부상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

장애인 육상에서도 고강도 훈련과 경기로 인해 다양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특정 장애 유형과 보조기구 사용으로 인해 다음 부위의 부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1) 휠체어 레이싱 선수

  • 어깨 관절 부상: 휠을 반복적으로 밀어야 하는 동작으로 인해 회전근개 손상, 염좌 발생
  • 손목·팔꿈치 부상: 지속적인 충격과 압박으로 인해 건염, 손목 터널 증후군 위험

 

 (2) 의족 착용 선수

  • 무릎·고관절 부상: 보행 및 달리기 시 인공 다리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관절 통증 유발
  • 피부 손상: 의족과 피부의 마찰로 인해 물집, 피부염 발생 가능

 

 (3) 시각장애 선수

  • 낙상 사고: 가이드 러너와의 보조가 완벽하지 않거나 착지 불균형 시 넘어질 위험 증가
  • 근육 긴장 및 피로: 방향 감각을 보완하기 위해 전신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 발생

 

 (4) 투척 종목 선수

  • 어깨 회전근 부상: 반복적인 던지기 동작으로 인해 회전근개 파열 위험
  • 허리 부상: 포환, 원반, 창 던지기 시 허리에 가해지는 부담 증가

마무리

 패럴림픽 육상은 신체적 한계를 극복하고 기록을 향해 도전하는 선수들의 의지와 열정을 보여주는 감동적인 종목입니다. 장애 유형에 따른 맞춤형 규칙과 보조 기구를 활용한 경기 방식이 일반 육상과 차별화되며, 훈련 과정에서 부상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부위도 존재합니다.

 패럴림픽 육상 선수들의 노력과 도전에 박수를 보내며,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