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디셔너

건강한 삶을 위해 컨디셔너와 컨디셔닝센터가 함께합니다.

Good For Your Health

장애인스포츠

[장애인스포츠]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 종목소개

컨디셔너(coNdi) 2025. 2. 28. 14:17
728x90
반응형
SMALL

 패럴림픽의 정식 종목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의 기준에 따라 선정되며, 올림픽과 유사한 종목도 있지만 장애 유형에 맞게 규칙이 조정된 종목도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패럴림픽 정식 종목과 간단한 설명입니다.

🏃‍♂️ 육상 (Athletics)

트랙 및 필드 종목으로 구성되며, 휠체어 레이싱, 투포환, 멀리뛰기 등 다양한 장애 유형에 맞춘 세부 종목이 운영됩니다.

 

🏊 수영 (Swimming)

장애 유형별로 나뉜 다양한 클래스가 있으며,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 혼영 경기가 진행됩니다.

 

🚴 사이클 (Cycling)

도로 및 트랙 경기로 나뉘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텐덤 자전거, 손으로 페달을 돌리는 핸드사이클, 삼륜 자전거 등이 사용됩니다.

 

🏀 휠체어 농구 (Wheelchair Basketball)

장애 정도에 따라 점수를 매겨 공정한 경기가 이루어지며, 올림픽 농구와 거의 동일한 규칙을 따릅니다.

 

🎾 휠체어 테니스 (Wheelchair Tennis)

2회 바운드까지 허용되는 점이 일반 테니스와 다른 특징이며, 단식과 복식 경기가 진행됩니다.

 

🤾‍♂️ 휠체어 럭비 (Wheelchair Rugby)

접촉이 허용되는 격렬한 스포츠로, 사지마비 장애인을 위한 팀 경기입니다.

 

⚽ 5인제 축구 (Football 5-a-side)

시각장애인을 위한 축구로, 공에서 소리가 나며, 필드 플레이어는 안대를 착용하고 경기합니다.

 

⚽ 7인제 축구 (Football 7-a-side) (2016년 이후 제외됨)

뇌성마비 선수들을 위한 축구 종목이었으나, 2016년 리우 패럴림픽 이후 정식 종목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탁구 (Table Tennis)

휠체어 또는 서서 경기하는 방식이 있으며, 장애 정도에 따라 클래스가 나뉩니다.

 

🏹 양궁 (Archery)

장애 유형에 따라 스탠딩, 휠체어 양궁 등으로 구분되며, 올림픽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역도 (Powerlifting)

주로 벤치프레스를 통해 진행되며, 상체 근력을 활용하는 종목입니다.

 

🏒 휠체어 펜싱 (Wheelchair Fencing)

선수들이 휠체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진행되며, 플뢰레, 에페, 사브르 세 종목이 있습니다.

 

🏒 아이스하키 (Para Ice Hockey)

하반신 장애인을 위한 아이스하키로, 썰매(Sledge)를 이용하여 경기를 진행합니다.

 

🥌 휠체어 컬링 (Wheelchair Curling)

일반 컬링과 유사하지만, 휠체어에서 투구하며 브러싱 없이 진행됩니다.

 

🏹 보치아 (Boccia)

뇌성마비 및 중증 장애인을 위한 종목으로, 공을 표적 공에 가깝게 던지는 경기입니다.

 

🏄 장애인 조정 (Para Rowing)

장애 유형에 따라 좌석이 고정되거나 다리 사용이 제한된 상태에서 조정 경기가 이루어집니다.

 

인공지능으로 만들어진 이미지입니다

 이 외에도 패럴림픽의 정식 종목은 시대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으며, 겨울 패럴림픽에는 스키, 바이애슬론, 스노보드 등의 종목이 포함됩니다. 🚀

728x9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