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협근(Buccinator muscle)**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와 강화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한글 명칭과 영어 명칭
- 한글명칭 : 볼근 / 협근
- 영어명칭 : Buccinator muscle
2. 근육의 기시와 정지
- 기시(Origin)
- **위턱뼈(Maxilla)**의 협부 능선(alveolar process)
- **아래턱뼈(Mandible)**의 협부 능선
- 익돌하악봉선(Pterygomandibular raphe)
- 정지(Insertion)
- 입꼬리(Angle of the mouth)
- **구륜근(Orbicularis oris)**에 섞여 들어감
3. 수축 시 움직임 (기능)
- 뺨을 안쪽으로 당겨 공기나 음식물이 밖으로 나가지 않게 함
→ 바람을 부는 표정, 휘파람, 빨대 사용, 연주(관악기) 등에 필수
→ 음식물을 어금니 쪽으로 모아 **효율적인 저작(씹기)**을 도와줌 - 입꼬리 움직임을 보조, 볼살을 납작하게 만듦
4. 지배 신경 (Innervation)
- 운동신경 : 얼굴신경(Facial nerve, CN VII) – 협부 가지(Buccal branch)
- 감각신경 :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CN V) – 협신경(Buccal nerve)
→ 운동과 감각을 각각 다른 신경이 담당함
5. 강화할 수 있는 운동 방법
협근은 **표정근이자 기능근(식사·발음·표현)**으로서, 탄력과 제어력을 동시에 훈련해야 효과적입니다.
1) 뺨 불어넣기 운동
- 방법
- 입을 다문 상태에서 뺨에 공기를 넣고 팽창
- 공기를 좌우로 천천히 이동
- 5초 유지 후 이완 × 10회
- 효과 : 협근의 조절력, 뺨 내압 조절 향상
2) 빨대 불기 / 휘파람 불기
- 방법
- 빨대를 물고 공기를 일정하게 내보내기
- 휘파람을 부는 것도 효과적
- 효과 : 볼 근육의 지구력 및 정밀한 수축 훈련
3) 손가락 저항 훈련
- 방법
- 손가락으로 뺨을 바깥으로 누르면서 안쪽으로 조이기
- 정적 수축 유지 (3~5초) 후 이완
4) 음식물 이동 훈련 (씹기 리듬 훈련)
- 방법
- 껌이나 부드러운 음식물을 양쪽 어금니 쪽으로 번갈아 밀어 넣기
- 협근의 저작 보조 기능 강화
요약 표
근육명 | 협근 (Buccinator muscle) |
기시 | 위·아래턱의 협부 능선, 익돌하악봉선 |
정지 | 입꼬리, 구륜근 |
기능 | 뺨을 안으로 당김, 음식물 보조, 휘파람·말하기·씹기 |
신경지배 | 얼굴신경(CN VII) – 운동 / 삼차신경(CN V) – 감각 |
강화 운동 | 뺨 불기, 휘파람/빨대, 저항 수축, 음식물 이동 훈련 |
📌 임상 팁
협근은 약해질 경우 볼이 패이거나 늘어짐, 발음 부정확, 씹는 힘 저하, 입술-뺨 비대칭 등이 나타납니다.
표정근 중 기능과 미용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핵심 근육입니다.
728x90
반응형
'근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 교근(Masseter) (2) | 2025.05.18 |
---|---|
[근육] 협근(Buccinagtor)의 손상예방 및 강화 (5) | 2025.05.17 |
[근육] 경돌구순근(Mentalis)의 손상예방 및 강화 (7) | 2025.05.16 |
[근육] 경돌구순근(Mentalis) (3) | 2025.05.16 |
[근육] 구각하제근(Depressor anguli oris muscle)의 손상예방 및 강화 (5)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