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교근(Masseter muscle)**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와 강화 및 이완 운동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한글 명칭과 영어 명칭
- 한글명칭 : 깨물근(씹개근) / 교근
- 영어명칭 : Masseter muscle
2. 근육의 기시와 정지
- 기시(Origin)
- 관골궁(Zygomatic arch) – 광대뼈와 관자뼈로 이루어진 부위
- 정지(Insertion)
- 하악골의 하각(Ramus and angle of the mandible)
- 특히 외측면(Lateral surface)에 부착
3. 수축 시 움직임 (기능)
- 하악골을 위로 끌어올려 턱을 다무는 작용 (Mandibular elevation)
→ **저작(씹기)**의 주요 근육
→ 음식을 씹을 때 강한 힘을 발생시킴
→ 무의식적인 **이갈이(Bruxism)**나 스트레스로 인해 과사용되는 경우도 많음
4. 지배 신경 (Innervation)
-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CN V)**의 제3가지
→ **하악신경(Mandibular nerve, V3)**의 가지인 교근신경(Masseteric nerve)
5. 강화 및 이완 운동 방법
교근은 씹는 힘을 담당하는 강한 근육이므로, 일반적인 경우 특별히 강화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양측 균형 조절, 저작 기능 개선, 마비 회복, 또는 운동선수/고령자의 저작력 유지가 목적이라면 적절한 훈련이 도움이 됩니다.
1) 교근 강화 운동
(1) 저작 운동 (씹기 훈련)
- 방법
- 껌, 젤리 등을 사용하여 좌우 번갈아 20~30회씩 씹기
- 좌우 대칭적 저작을 유도
- 효과 : 교근 및 협동 저작근육 활성화
(2) 턱 힘주기 정적 수축 운동
- 방법
- 입을 다문 상태에서 아래턱을 위로 힘껏 올려 수축 유지 (이를 악물 듯)
- 5초 유지 → 5초 이완 × 5~10회 반복
- 단, 이갈이 경향 있는 사람은 과도한 수축 주의
(3) 손가락 저항 훈련
- 방법
- 턱 아래에 손바닥을 대고 턱을 닫으려는 힘과 손의 저항을 서로 줌
- 근력 + 조절력 향상
2) 교근 이완 운동 (과긴장 해소 시)
(1) 턱 근육 마사지
- 방법
- 광대뼈 아래, 귀 앞쪽에서 턱까지 손가락으로 원을 그리듯 누르며 마사지
- 과긴장된 교근 이완에 효과적
(2) 입 벌리기 스트레칭
- 방법
- 입을 천천히 최대한 벌리고 5초 유지 후 닫기
- 통증 없을 정도에서 반복
요약 표
근육명 | 교근 (Masseter) |
기시 | 관골궁(Zygomatic arch) |
정지 | 하악골의 하각 및 외측면 |
기능 | 턱을 들어올려 씹는 힘 생성 (저작 작용) |
신경지배 | 삼차신경(CN V) – 하악신경(V3)의 교근가지 |
강화 운동 | 씹기 훈련, 턱 힘주기, 손 저항 수축 |
이완 운동 | 마사지, 입 벌리기 스트레칭 |
📌 임상 팁
- 약화 시 : 저작력 약화, 턱 불안정, 발음 부정확
- 과긴장 시 : 두통, 이갈이, 턱관절 장애(TMJ) 발생 가능
728x90
반응형
'근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 측두근(Temporalis) (2) | 2025.05.19 |
---|---|
[근육] 교근(Masseter)의 손상예방 및 강화 (3) | 2025.05.18 |
[근육] 협근(Buccinagtor)의 손상예방 및 강화 (5) | 2025.05.17 |
[근육] 협근(Buccinator) (2) | 2025.05.17 |
[근육] 경돌구순근(Mentalis)의 손상예방 및 강화 (7)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