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비익근(Nasalis Muscle - Alar Part) 정보 정리
1. 한글 명칭과 영어 명칭
- 한글명칭 : 콧방울근 / 비익근
- 영어명칭 : Nasalis muscle – Alar part
※ 일반적으로 비익근은 비근근(Procerus)과 함께 Nasalis muscle의 일부로 간주되며,
**비근부(Transverse part)**와 **비익부(Alar part)**로 나뉩니다.
2. 근육의 기시와 정지
- 기시(Origin)
- 위턱뼈(Upper maxilla)의 앞면, 송곳니 융기(Canine eminence)
- 정지(Insertion)
- 콧방울의 피부(Skin of the ala of the nose)
3. 수축 시 움직임 (Actions)
- 콧방울 확장(Dilation of the nostril):
→ 숨을 더 들이쉬기 위해 콧구멍을 넓힘
→ 깊은 호흡, 냄새 맡기, 운동 시 호흡 보조 - 감정 표현
→ 콧방울이 들리며 경멸, 역겨움, 집중 등 미세 표정 조절
4. 지배 신경 (Innervation)
- 얼굴신경(Facial nerve, CN VII)
- 관골가지(Zygomatic branch) 및 상순 신경들과 연결됨
5. 강화할 수 있는 운동 방법
비익근은 표정근이자 호흡 보조근으로, 코의 움직임 및 깊은 흡기 보조 역할을 하므로, 감각 운동 훈련이 효과적입니다.
1) 콧방울 벌리기 운동
- 방법
- 콧방울을 의식적으로 넓히며 들숨
- 3~5초 유지 후 이완
- 10~15회 반복
2) 손가락 저항 + 콧방울 확장
- 방법
- 검지를 콧방울 옆에 대고 벌리는 힘으로 저항 이기기
- 정적 수축 훈련으로 비익근 활성화
3) 후각 호흡 훈련과 연계
- 방법
- 향기로운 자극(아로마 등)을 맡으며 콧방울 넓히기
- 비익근과 후각 감각 통합 자극
4) 표정 훈련: 콧방울 움직임 포함 표정 순환
- ‘코찡긋’ 표정 → 평정 → 찡긋 → 평정
- 감정 표현력 향상과 근육 조절에 효과
요약 표
근육명 | 비익근 (Nasalis – Alar part) |
기시 | 위턱뼈 앞면, 송곳니 융기 |
정지 | 콧방울 피부 |
기능 | 콧방울 확장, 들숨 보조, 감정 표현 |
신경지배 | 얼굴신경(CN VII) – 관골가지 |
강화 운동 | 콧방울 벌리기, 손가락 저항 운동, 후각 호흡 훈련, 표정 루틴 |
임상 팁
비익근은 일반적인 표정근과 달리 호흡 보조와 후각 조절에 관여합니다.
특히 운동 중 숨을 크게 들이쉴 때나 아로마테라피, 요가 호흡 시 함께 활성화됩니다.
훈련 시 의식적인 콧방울 확장 동작이 중요하며, 자율신경 안정화에도 간접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근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 비익근(Nasalis Muscle)의 손상예방 및 강화 (13) | 2025.05.07 |
---|---|
[근육] 비익근(Nasalis Muscle - Transverse Part) (4) | 2025.05.07 |
[근육] 비근근(Procerus Muscle)의 손상예방 및 강화 (6) | 2025.05.06 |
[근육] 비근근(Procerus Muscle) (3) | 2025.05.06 |
[근육] 눈썹주름근(Corrugator Supercilii)의 손상예방 및 강화 (1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