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외항문괄약근(External Anal Sphincter) 정보 정리
1. 한글 명칭과 영어 명칭
- 한글명칭 : 바깥항문조임근 / 외항문괄약근
- 영어명칭 : External Anal Sphincter
2. 근육의 기시와 정지
- 기시(Origin)
- 회음체(Central tendon of the perineum)
- 정지(Insertion)
- 미골(Coccyx)의 끝 부분
- **꼬리뼈 인대(Anococcygeal ligament)**에 부착
- 일부 섬유는 **항문거근(levator ani)**과 연속되어 있음
▶ 환형 근육 구조로 항문을 감싸며 둘러싸는 형태
▶ 3개 층으로 나뉘기도 함: 피부층, 얕은층, 깊은층
3. 수축 시 움직임 (Actions)
- 항문 폐쇄(Closure of the anus)
→ 배변 참기, 대변 조절 기능 - 수의적 조절 가능(Voluntary control)
→ 의식적으로 조절 가능한 괄약근 - 복압 조절 보조
→ 기침, 무거운 물건 들기, 운동 시 장기 지지
4. 지배 신경 (Innervation)
- 하직장신경(Inferior rectal nerve)
- **음부신경(Pudendal nerve, S2–S4)**의 가지
5. 강화할 수 있는 운동 방법
외항문괄약근은 골반저 근육군 중에서도 항문 조절의 핵심 역할을 하며, 케겔운동 등으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1) 항문 수축 중심 케겔 운동
- 기본 방법
- 항문을 "들어 올린다"는 느낌으로 조임
- 3~5초 수축 → 5초 이완
- 하루 10-15회, 2-3세트
- 변형 방법
- 빠른 수축(fast flicks): 빠르게 조였다 풀기
- 지속 수축(long hold): 10초 이상 유지
2) 브리지 + 항문 수축 운동
- Glute Bridge + Sphincter Activation
- 엉덩이를 들어올리는 동시에 항문 근육 수축 유지
- 엉덩이, 복부, 골반저 통합
3) 자세와 연계된 기능성 훈련
- 스쿼트 중 항문 수축 유지 : 하강 시 이완, 상승 시 수축
- 고양이-소 자세(Cat-Cow Pose) + 호흡 + 괄약근 수축 : 복부 압력 및 골반저 협응성 향상
요약 표
근육명 | 외항문괄약근 (External Anal Sphincter) |
기시 | 회음체 |
정지 | 미골, 항문-미골 인대 |
기능 | 항문 폐쇄, 배변 조절, 수의적 조절 가능 |
신경지배 | 하직장신경 (음부신경 S2–S4) |
강화 운동 | 항문 중심 케겔, 브리지+수축, 스쿼트+수축 등 |
임상 팁
외항문괄약근은 요실금뿐 아니라 대변 실금, 골반저 안정성, 코어 압력 유지에도 필수입니다.
약화될 경우 대변 조절 장애, 골반저 탈출증, 성기능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강화 운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근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 전두근(Frontalis Muscle) (6) | 2025.05.02 |
---|---|
[근육] 외항문괄약근(External Anal Sphincter)의 손상예방 및 강화 (11) | 2025.05.01 |
[근육] 미골근(Coccygeus Muscle)의 손상예방 및 강화 (13) | 2025.04.30 |
[근육] 미골근(Coccygeus Muscle) (5) | 2025.04.30 |
[근육] 장골미골근(Iliococcygeus Muscle)의 손상예방 및 강화 (6)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