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디셔너

건강한 삶을 위해 컨디셔너와 컨디셔닝센터가 함께합니다.

Good For Your Health

근육학

[근육] 견갑설골근(Omyhyoid)

컨디셔너(coNdi) 2025. 6. 4. 00:16
728x90
반응형
SMALL

**견갑설골근 (Omohyoid muscle)**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와 강화운동 정리입니다.


1. 한글명칭과 영어명칭

  • 한글명칭 : 견갑설골근
  • 영어명칭 : Omohyoid muscle

2. 근육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

  • 기시 : 견갑골 상연 (Superior border of the scapula, near the suprascapular notch)
  • 정지 : 설골의 몸통 아래면 (Inferior border of the hyoid bone)

※ 이 근육은 **상복부(superior belly)**와 **하복부(inferior belly)**로 나뉘며, 중간힘줄(intermediate tendon)로 연결되어 있음.


3. 수축할 때 생기는 움직임

  • 설골을 아래쪽으로 당겨 후두 하강 보조
  • 목의 전외측 삼각 공간을 긴장시켜 정맥류 확장을 억제하는 역할도 수행
  • 발성, 삼킴 시 후두 안정화에 기여

4. 지배하는 신경

  • 목신경 고리 (Ansa cervicalis)
    • 주로 C1~C3 신경섬유

5. 강화할 수 있는 운동방법

 1) 설골 저항 운동 (Isometric hyoid depression)

  • 방법
    • 손가락으로 설골 부위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서, 목을 위로 약간 들고 설골을 유지하도록 저항
  • 효과 : 설골 하강근(특히 견갑설골근) 활성화
  • 횟수 : 5초 유지 × 10회 반복

 2) '이' 발성 후두하강 운동

  • 방법
    • 입을 벌리지 않고 "이이이~" 소리를 낮은 톤으로 길게 내며, 설골 및 후두가 아래로 움직이는 걸 느끼기
  • 효과 : 설골 하강근 협응력 증가
  • 팁 : 손으로 설골 위치를 만져 보며 움직임을 감지

 3) 고개 들어 유지하기 (Cervical lifting)

  • 방법
    •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턱을 당기며 고개를 살짝 들어올려 5초간 유지
    • 하복부(견갑설골근) 포함한 전경부 근육들 사용
  • 주의 : 경추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짧게 반복

요약 표

근육명 견갑설골근 (Omohyoid muscle)
기시 견갑골 상연 (Superior border of scapula)
정지 설골의 아래면 (Inferior border of hyoid bone)
기능 설골 하강, 후두 안정화
신경지배 목신경 고리 (Ansa cervicalis, C1~C3)
강화운동 설골 저항, 발성, 고개 들어 유지하기
 

💡TIP : 견갑설골근은 설골 하강뿐 아니라 목의 전면부 형태 유지에도 기여합니다.
후두 안정화 운동이나 발성 훈련 시 중요한 구조로, 삼킴 장애 및 음성 재활 프로그램에도 포함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