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학
[근육]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컨디셔너(coNdi)
2025. 5. 24. 09:16
728x90
반응형
SMALL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와 근육 강화 운동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한글 명칭과 영어 명칭
- 한글명칭 : 흉쇄유돌근
- 영어명칭 : Sternocleidomastoid muscle
2. 근육의 기시와 정지
- 기시(Origin)
- 복장뼈의 앞면 (Sternal head – manubrium of sternum)
- 빗장뼈의 안쪽 1/3 (Clavicular head – medial clavicle)
- 정지(Insertion)
- 측두골의 유양돌기 (Mastoid process of temporal bone)
- 상항선(Superior nuchal line)의 가쪽 부분
3. 수축 시 움직임 (기능)
- 한쪽 수축 시
- 반대쪽으로 머리를 돌림 (Contralateral rotation)
- 같은 쪽으로 머리를 기울임 (Ipsilateral lateral flexion)
- 양쪽 동시 수축 시
- 머리를 앞으로 숙임 (Neck flexion)
- 머리를 약간 들며 경추 신전 보조
- 보조 호흡근으로 작용 (고정 시 갈비뼈 상승 도움)
4. 지배 신경 (Innervation)
- 운동신경
- 부신경(Accessory nerve, CN XI)
- 감각 보조
- 경신경총(Cervical plexus) – C2, C3
5. 강화할 수 있는 운동 방법
흉쇄유돌근은 목 움직임 조절, 자세 유지, 회전과 측굴, 호흡 보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약화되면 거북목 자세, 불균형한 회전, 안면비대칭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1) 정적 저항 운동 (Isometric)
- 방법
- 손바닥을 머리 옆 또는 이마에 대고, 머리는 손을 밀고 손은 저항
- 정적 수축을 5초 유지, 5초 이완
- 좌우 회전, 측굴, 전굴 방향으로 각각 반복
- 효과 : 근육의 조절력 및 안정성 강화
2) 목 회전 + 측굴 운동
- 방법
-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반대쪽으로 돌리고, 같은 쪽 어깨 쪽으로 기울이기
- 천천히 돌아오며 근육의 탄성과 컨트롤 훈련
- 좌우 교대로 10회 반복
3) 누운 자세 목 들어올리기
- 방법
- 바로 누운 자세에서 턱을 당기고 머리를 약간 들어올리기
- 3~5초 유지 후 천천히 내리기
- 주의 : 과도한 경추 압박 방지를 위해 천천히 진행
4) 흉쇄유돌근 스트레칭
- 방법
- 오른쪽 근육 스트레칭 시, 고개를 왼쪽으로 돌리고 오른쪽으로 기울임
- 턱을 약간 들어 올리며 이완
- 반대쪽도 동일하게 반복
요약 표
근육명 |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muscle) |
기시 | 복장뼈 앞면, 빗장뼈 안쪽 |
정지 | 측두골 유양돌기, 상항선 |
기능 | 머리 회전, 기울이기, 목 굴곡, 호흡 보조 |
신경지배 | 부신경(CN XI), 경신경총(C2~C3) |
강화 운동 | 정적 저항, 회전+측굴, 목 들기, 스트레칭 |
📌 임상 팁
- 흉쇄유돌근(목빗근)은 안면 비대칭, 거북목, 상부 교차 증후군, 긴장성 두통과도 관련이 많습니다.
- 과사용 시 이완과 마사지, 약화 시 정적 수축 훈련을 병행하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