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학/관절학

[관절]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컨디셔너(coNdi) 2025. 6. 18. 21:16
728x90
반응형
SMALL

🦷 우리 몸의 관절 –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

 측두하악관절은 **머리뼈(측두골)**와 **아래턱뼈(하악골)**가 만나는 관절로, 입을 여닫고, 말하고, 씹고, 하품하는 등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매우 중요한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디스크(관절원판)**와 여러 근육 및 인대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움직이며, **회전 운동(hinge)**과 **활주 운동(slide)**이 동시에 일어나는 복합 관절입니다.


📌 TMJ 손상의 주요 유형

1. 측두하악관절 장애(TM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원인 : 스트레스, 이갈이, 턱을 괴는 습관, 잘못된 교합 등
  • 증상 :
    • 턱 통증
    • 입 벌릴 때 '딱딱' 소리
    • 입이 잘 안 벌어짐
    • 턱이 빠지는 느낌 또는 비대칭

 

2. 관절원판 이상 (디스크 변위)

  • 디스크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클릭 소리, 통증, 운동 제한을 유발함

 

3. 퇴행성 관절염 또는 외상성 손상

  • 연령, 충격, 과사용에 의해 관절 연골이 닳아 통증 및 기능 장애 발생

💪 TMJ 건강을 위한 추천 운동

 1) 입 벌리기 조절 운동 (Controlled opening)

  • 방법
    • 거울을 보며 턱이 일직선으로 움직이도록 조심스럽게 입을 벌림
    • 손가락 2~3개가 들어갈 정도까지만 벌리기
  • 효과 : 비정상적 턱 움직임 예방

 2) 저항 입 벌리기 운동 (Isometric jaw opening)

  • 방법
    • 턱 아래에 손을 대고 입을 벌리려 하되 손으로 저항을 줌
    • 5초 유지 × 10회
  • 효과 : 턱 주변 근육 강화

 3) 혀-입천장 유지 운동 (Tongue up rest position)

  • 방법
    • 혀끝을 입천장 앞부분에 두고 입을 편하게 다문 상태 유지
    • 하루 여러 번 수행
  • 효과 : 턱 근육 안정화, 이갈이 예방

요약

  • 측두하악관절은 씹기, 말하기에 필수적인 복합 관절
  • 잘못된 습관, 스트레스, 이갈이로 손상 발생
  • 간단한 자가운동과 스트레칭으로 예방 가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