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학/관절학

[관절] 원위 요척관절(Distal Radioulnar joint)

컨디셔너(coNdi) 2025. 7. 10. 21:48
728x90
반응형
SMALL

💡 우리 몸의 관절: Distal Radioulnar Joint (원위 요척관절)

해부학적 특징과 기능

 Distal radioulnar joint는 전완의 아래쪽 끝, 요골(distal radius)과 척골(distal ulna) 사이에 위치한 회전성 관절입니다. 이 관절은 손과 전완의 회내(pronation) 및 회외(supination)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가 이 관절을 안정화시킵니다. TFCC는 인대, 연골, 섬유조직으로 구성된 복합 구조로 충격 흡수와 함께 관절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손상의 종류

  1. TFCC 손상 : 가장 흔한 손상이며, 손목의 통증, 딸깍거림, 불안정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복적인 회전 동작이나 외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2. 관절 아탈구 또는 탈구 : 외상이나 만성 불안정성으로 인한 관절 변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퇴행성 변화 : 반복적인 사용이나 노화로 인해 연골 손상이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만성 통증의 원인이 됩니다.

 

추천 운동 방법

  1. 전완 회전 운동 (Pron/Sup Twist)
    • 팔꿈치를 90도 굽힌 상태에서 손바닥을 위아래로 돌리며 전완을 회전시킵니다.
    • 각 방향으로 10-15회 반복, 하루 2-3세트 진행.
  2. 고무공 쥐기 운동
    • 손에 고무공을 쥐고 5초간 꽉 쥐었다가 천천히 풀기.
    • 손목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 안정성 향상.
  3. Theraband를 활용한 회전 저항 운동
    • TheraBand의 한 쪽을 고정하고 다른 쪽을 손에 감아 회전 운동을 실시합니다.
    • TFCC 및 주변 근육의 기능적 회복에 효과적입니다.

인공지능으로 만들어진 이미지입니다

요약

 Distal radioulnar joint는 전완의 회전에 관여하며 손목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담당합니다. 이 관절은 TFCC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에 민감하므로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 운동이 필요합니다. 정확한 운동법을 통해 손상 예방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으며, 통증이 지속되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